본문 바로가기

홈멀티 에어컨40

SAMSUNG [홈멀티 에어컨] 송풍(청정)운전 작동이 안됩니다. 삼성전자서비스 [홈멀티 에어컨] 송풍(청정)운전 작동이 안됩니다. 예상 원인 운전방법이 잘못 되었을 경우 및 오동작에 의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조치 방법 송풍운전 선택 리모컨의 운전선택 버튼으로 송풍을 선택해 주세요. 2014년 이후 제품은 모드 버튼으로 선택해 주세요. 리모컨 표시창에는 청정(송풍)표시가 나옵니다. 전원리셋 확인 순간적인 노이즈로 인하여 오동작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리셋을 시켜보세요 . ■ 년도별 리셋 방법 -2012년이후 : 무선리모컨으로 스마트리셋 실시, 전원코드 재 삽입 - 2011년이전 : 전원코드 재 삽입 1) 20 12년 이후 스마트 리셋 방법 2012년 : [확인/취소]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바람V] 버튼 5초 2013년: [ 확인/취소]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바람.. 2023. 3. 17.
SAMSUNG [홈멀티 에어컨] 무풍 기능 사용시 냉방이 약합니다. 삼성전자서비스 [홈멀티 에어컨] 무풍 기능 사용시 냉방이 약합니다. 조치 방법 운전모드 확인 무풍기능은 운전모드에 따라 찬 바람이 안 나올 수 있습니다. 만약, 청정모드 상태에서 무풍을 선택하셨다면 실외기가 동작되지 않으므로 찬 바람이 나오지 않습니다. 제품의 운전모드가 냉방으로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 해 주세요. 희망온도를 현재온도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냉방모드에서 무풍기능을 선택했더라도 희망온도가 높게 설정 되어 있으면 실외기가 동작하지 않아 찬 바람이 나오지 않습니다. 희망온도가 현재온도보다 낮게 설정이 되어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실내 온도가 낮아진 후 무풍사용 확인 무풍 기능은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아니라 실내의 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기능으로 먼저 일반 냉방모드로 실내온도를 낮춘 후.. 2023. 3. 16.
SAMSUNG [홈멀티 에어컨] 본체 온도 표시부에 E441_C441 에러가 나타납니다. 삼성전자서비스 [홈멀티 에어컨] 본체 온도 표시부에 E441_C441 에러가 나타납니다. 예상 원인 실외의 온도가 영하 5도 이하에서는 냉방가동을 하게 되면 제품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제품의 보호를 위해 가동을 멈추는 보호에러이며 고장이 아닙니다. 조치 방법 해당 에러는 바깥온도가 -5 ℃이하일때 실내기를 작동할 경우 발생하는 에러로 고장이 아닙니다.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냉방 운전을 하게 되면 실외기에 무리를 주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실외온도 -5 ℃이하가 되면 작동을 중지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삼성전자서비스 [홈멀티 에어컨] 배수 시 "꾸르륵, 꼬르륵" 물 빠지는 소리가 납니다. 예상 원인 배수가 되면서 물 흐르는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조치 방법 배수호스 확인방법 습도가 높.. 2023. 3. 15.
SAMSUNG [홈멀티 에어컨] 물이 안 나옵니다. 삼성전자서비스 [홈멀티 에어컨] 물이 안 나옵니다. 사용 안내 상대 습도 원인 안내 에어컨에서 발생되는 물은 온도차이에 의해서 습도가 높으면 물이 많이 나오고 습도가 낮으면 상대적으로 물이 적거나 혹은 아예 안 나올 수 있습니다. 찬바람이 잘 나온다면 습도가 낮아서 물이 적거나 아예 안나오는 증상이므로 안심하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여름철에 꿉꿉하고 겨울철에 건조하다는 말은 습도와 연관이 있는 말입니다. 즉, 온도가 높을수록 습도는 높아지며 온도가 내려갈수록 습도도 내려갑니다. 다만 한 여름이라도 온도가 서늘할 정도로 낮으면 습도는 내려갑니다. 삼성전자서비스 [홈멀티 에어컨] 냉방 시 실외기 배관 연결부에 물이 흐릅니다. 예상 원인 온도 차이에 의한 누수 증상 및 배관 단열재 훼손 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3. 3. 14.
SAMSUNG [홈멀티 에어컨] 난방시 실외기 바닥에 물이 흐릅니다. 삼성전자서비스 [홈멀티 에어컨] 난방시 실외기 바닥에 물이 흐릅니다. 예상 원인 난방 운전시 실외기에 성애가 발생하는데 이를 녹이는 과정에서 물이 발생됩니다. 조치 방법 냉방을 사용하면 실내기에서 물이 나오게 됩니다. 난방을 사용하게 되면 냉매(가스)를 역순환시켜 실내로 더운 바람을, 실외로 찬 바람이 나오게 되는데 여름철에 실내에서 물이 나오듯이 겨울철에 난방을 사용하게 되면 실외기에서 물이 나오게 됩니다. 또한, 실외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면 실외기쪽에 물이 얼어 성에 가 끼게 되는데 그 성에를 녹이는 기능을 제상이라고 표현합니다. 이때 성에를 녹이게 되면 실외기쪽에 물이 바닥으로 흐르게 됩니다. 난방 사용 중 실외기쪽에 물이 생기는 부분은 정상적인 상태 이므로 안심하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 제상 .. 2023. 3. 13.
SAMSUNG [홈멀티 에어컨] 스마트싱스 기기 카드에 오프라인 표시되고, 제어가 안됩니다. 삼성전자서비스 [홈멀티 에어컨] 스마트싱스 기기 카드에 오프라인 표시되고, 제어가 안됩니다. 예상 원인 기기의 전원이 분리 또는 네트워크(Wi-Fi 공유기) 연결이 끊길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치 방법 기기(실내기)의 전원 상태 확인 기기에 전원을 연결하여 전원대기 상태 유지(전원 ON 상태는 아니여도 전원 코드를 연결하여 대기 상태 유지) 네트워크(Wi-Fi 공유기) 연결 상태 복구 확인 휴대폰을 댁내의 Wi-Fi 공유기에 연결 후 인터넷 접속을 확인하세요. ■ 인터넷이 가능한 경우 오프라인이 발생한 기기 카드를 제거한 후 기기 추가를 진행하세요. ☐ 안드로이드폰 ① 사전 준비 완료 후, 모바일용 스마트싱스 실행 ② 홈 화면에서 우측 상단의 '추가(+)' 선택 ③ 기기 선택 ④ 에어컨 선택 ⑤ 제조.. 2023. 3. 11.
SAMSUNG [홈멀티 에어컨] 스마트싱스 앱(어플) 설치 방법이 궁금합니다. 삼성전자서비스 [홈멀티 에어컨] 스마트싱스 앱(어플) 설치 방법이 궁금합니다. 사용 환경 안내 □ 안드로이드 8.0 이상, RAM size 3 GB 이상 □ 아이폰 13.0 이상, RAM size 2 GB이상 ※ 스마트싱스 앱 사용 환경은 사용성 및 성능 개선을 위해 별도 고지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설치 방법 안내 ■ 안드로이드폰 플레이스토어(또는 갤럭시 스토어)에서 한글 또는 영문으로 '스마트싱스'로 검색하여 설치 ■ 아이폰 앱스토어에서 한글 또는 영문으로 '스마트싱스'로 검색하여 설치 ※ 위치 기반의 서비스 이용을 위해 위치정보는 '항상 허용' 권장 삼성전자서비스 [홈멀티 에어컨] 스마트싱스 지원 모델 확인 방법이 궁금합니다. 스마트싱스 지원되는 기기 확인 방법 모바일용 스마트싱스앱의 '지원되는 .. 2023. 3. 10.
SAMSUNG [홈멀티 에어컨] 바람 토출구(바람문), 블레이드, 날개 작동이 안됩니다. 삼성전자서비스 [홈멀티 에어컨] 바람 토출구(바람문), 블레이드, 날개 작동이 안됩니다. 예상 원인 - 일반에어컨 : 바람 토출구에 이물질이 끼었거나, 바람 방향 선택을 잘못 선택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무풍에어컨 : 바람문 구동부에 이물질이 끼었거나, 바람문을 개별 선택하신 경우 또는 운전모드에 따라서 바람문이 임의로 닫히거나 열려있을 수 있습니다. 조치 방법 내부 이물질 제거 해당 증상은 제품 내부로 어린아이 장난감과 같은 이물질이 끼여 있을 때 나올 수 있습니다. 일반에어컨 : 리모컨 상하좌우 버튼 누름 냉방모드에서 리모컨의 상하좌우 버튼을 눌러 날개(블레이드)가 동작되는지 확인해 주세요. 무풍에어컨 : 냉방운전 변경 방법 스마트쾌적 등의 일부 운전모드에서는 바람문이 열리고 닫히는 과정이 .. 2023. 3. 9.
SAMSUNG [홈멀티 에어컨] 표시부에 글자가 깨져 보입니다. 삼성전자서비스 [홈멀티 에어컨] 표시부에 글자가 깨져 보입니다. 예상 원인 - 에러가 발생했을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일시적인 오동작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조치 방법 스마트 리셋 확인 순간적인 노이즈로 인하여 오동작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리셋을 시켜보세요. ■ 년도별 리셋 방법 - 2012년 이후 : 무선리모컨으로 스마트리셋 실시, 전원코드 재 삽입 - 2011년 이전 : 전원코드 재 삽입 2) 2011년이전 전원리셋 방법 - 전원 코드를 빼거나 누전차단기를 내리고 약 1분 정도 후에 올려서 작동을 시켜 보세요. 차단기는 신발장 위나 현관등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차단기의 스위치를 내린후에 다시 올려보시고 만약 스위치가 덜렁거리거나 힘없이 떨어지는 증상이 있다면 차단기의 문제일수도 있습니다. .. 2023. 3. 8.